티스토리 뷰
목차
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, 아직도 주민센터 가서 발급 받으시나요?
인터넷으로 단 3분이면 무료로 출력 가능합니다. 취업, 이직, 지원금 신청에도 꼭 필요한 서류입니다.
헷갈리지 않도록 공식 경로로 정확하게 안내드립니다.
자격득실확인서란?
건강보험에 가입한 이력이 있는 사람의 가입자격 취득 및 상실 내역을 증명하는 서류입니다.
언제부터 직장가입자였는지, 지역가입자였는지, 자격을 상실한 이력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 취업·이직·소득신고·지원금 신청 시 필수로 요구됩니다.
인터넷 발급이 가능한 사람
- 건강보험 직장가입자
- 지역가입자
- 피부양자(부양가족)
※ 본인 명의 공동인증서(구 공인인증서)만 있으면 즉시 발급 가능
자격득실확인서 인터넷 발급 방법
① 국민건강보험공단 민원서비스 접속
② 공동인증서로 로그인
③ 민원신청 > 자격득실확인서 발급 클릭
④ 필요한 기간 설정 후 조회
⑤ PDF 저장 또는 프린트 출력
※ 기관 제출용은 팩스 전송 또는 전자문서로도 가능
출력 없이도 제출 가능한 방법
해당 증명서는 기관에 따라 온라인 제출도 가능합니다.
제출 방법 | 설명 |
---|---|
PDF 저장 | 파일 제출용으로 사용 |
팩스 전송 | 공단에서 수신처로 직접 전송 |
전자문서 제출 | 기관에서 인증번호로 확인 가능 |
자주 묻는 질문 (FAQ)
Q. 공동인증서가 꼭 필요한가요?
→ 네, 반드시 본인 인증이 필요합니다. 간편인증은 지원되지 않습니다.
Q. 과거 이력까지 모두 출력되나요?
→ 조회기간 설정에 따라 과거 모든 자격 내역 확인이 가능합니다.
Q.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가 변경된 경우도 확인되나요?
→ 네, 자격취득과 상실 내역 모두 표기됩니다.
이 서류가 필요한 상황
- 입사 시 건강보험 가입내역 증명 요청
- 국가장학금 신청 시 가족 자격확인
- 정부지원금 신청 시 소득 확인 자료로 제출
- 소득금액증명서 외 건강보험 자격증명 보완 시
마무리 요약
✔ 자격득실확인서는 직장가입·지역가입 이력 확인용 필수 서류
✔ 인터넷으로 3분 이내 무료 발급
✔ 공동인증서 필수 / 출력 또는 온라인 제출 가능
✔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즉시 확인 가능
직장이나 학교, 지원기관에서 요청하는 경우를 대비해 미리 발급해두는 것도 추천드립니다.